3차 흡연에 관하여 많이 물어보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3차 흡연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없으신가요? contact@thirdhandsmoke.org로 이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자재 속 깊숙이 배어들며 오염된 곳에서 제거하기 쉽지 않습니다. 3차 흡연에 오염되기 쉬운 자재나 소재로는 카펫, 베개, 가구용 직물, 가구, 시트록 석고보드, 건식벽, 바닥재, 천장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원으로 인해 3차 흡연 피해를 제거하기 매우 어려워지며 제거 비용이 많이 듭니다.
3차 흡연을 제거할 최선의 방법을 찾고자 소정의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습니다. 제거의 증거는 제한적이지만 늘어나고 있습니다. 청소와 악취 제거에 관하여 현재 보유한 지식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면, 바닥, 직물, 완구, 접시 및 식탁용 날붙이를 비롯한 일반적인 집 청소
- 표면에 쌓이고 날아오르는 먼지에 누적되어 온 3차 흡연 잔류물은 빈번하고 꼼꼼한 집 청소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처리법으로 효과를 보려면 HEPA 필터가 있는 진공청소기로 자주 청소해야 하며 산성(예: 가정용 백식초) 및 알칼리성(예: Simple Green) 세척액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표면을 닦아야/세척해야/문대야 합니다. 올바른 희석과 세척액 사용에 관한 제조사의 지침을 반드시 따르십시오.
- 3차 흡연에 오염된 옷, 담요, 베개 및 직물 완구는 세탁기에 돌려서 깨끗이 할 수 있습니다. 직물이 오염된 정도에 따라 여러 번 세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3차 흡연의 영향을 받은 접시, 식탁용 날붙이 및 플라스틱 완구는 식기세척기에 넣어서 깨끗이 할 수 있습니다. 물건이 얼마나 심하게 오염되었는지에 따라 여러 번 세척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가정 주택에는 HVAC 덕트, 테이블 밑면, 캐비닛 안쪽, 책장 뒷면, 페인트칠한 벽면, 매트리스, 가구용 직물 및 벽장과 같이 눈에 띄지 않으나 3차 흡연으로 오염될 수 있는 표면이 많이 있습니다. 이처럼 집에 숨어 있는 3차 흡연 오염원을 청소하면 3차 흡연 오염물질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오염된 물체를 청소할 수 없을 때는 교체와 폐기를 고려해야 합니다(예: HVAC 덕트, 매트리스).
주의: 숨은 THS 오염원(예: 벽, 가구, 카펫 백킹)을 제거하지 않으면 THS(3차 흡연 유해 물질)는 이러한 오염원에서 거듭 방출되며 계속해서 가재도구 표면과 먼지를 오염시킬 것입니다.
심하게 오염된 벽, 천장 및 바닥
- TSP(제3인산나트륨)는 오래가는 3차 흡연 잔류물을 처리하고자 때로 전문가(예: 도장공, 환경복원 전문가)가 사용하는 화학약품입니다. 이 방법이 효과를 보려면 애벌칠과 겉칠을 하기 전에 문, 바닥, 천장, 벽, 걸레받이 및 마룻장과 같은 표면을 모두 일일이 세척해야/문대야 합니다. TSP는 위험한 화학물질이며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문 도구와 개인 보호 장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청소 방법의 장기적인 효과는 현재 그리 잘 알려지지 않으며 3차 흡연 피해의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이러한 형식의 청소는 표면에 쌓인 잔류물의 제거에 주효합니다. 다만, TSP를 사용한 청소는 목재 판넬, 파티클 보드 및 건식벽 같은 자재에 깊숙이 배어든 3차 흡연 잔류물을 제거하기에 역부족입니다.
- 청소가 끝난 다음, 재도장 전에 특수한 페인트 밑칠(예: 알코올 기반) 프라이머를 도포할 때도 있습니다. 애벌칠과 겉칠로는 벽면의 3차 흡연 잔류물을 가둘 수 있지만, 노출된 표면에 덧칠하는 것으로는 3차 흡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그렇긴 해도 일시적이나마 퀴퀴한 담배 악취는 사라질 지도 모릅니다. 3차 흡연 잔류물이 새 도장층을 뚫고 침투하는 현상(다시 말해 “배어드는 것”)에 대한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페인트칠이 3차 흡연의 영구적 해법이 될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접근법의 장단기적 효과는 현재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주의: 벽, 천장 및 바닥이 3차 흡연으로 심하게 오염된 경우 해당 오염물질은 건식벽과 천장 판넬에는 물론, 공동관로 덕트와 벽 단열재에 배어들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벽 바깥면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고 해서 해당 자재나 벽 이면에 배어든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것은 아닙니다.
퀴퀴한 담배 악취를 없앴다고 THS 오염물질이 제거되었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 3차 흡연의 악취를 줄여도 화학적 노출로부터 사람을 보호하지는 못합니다. 악취의 지각은 신체 감각으로 공기 중 화합물을 감지하는 작용입니다. 일부 위험한 화학물질은 냄새가 없거나 심지어 좋은 냄새를 풍기는 한편, 유해하지 않은 그 밖의 화학물질은 때로 불쾌한 냄새를 풍기기도 합니다. 또한, 3차 흡연 오염물질 중 일부는 공기 중에 없을지 몰라도 표면에 붙어서 혹은 먼지 속에서 오래 남아 있습니다.
-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일부 접근법에는 기분 좋은 향기로 불쾌한 냄새를 감춤으로써 사람의 감각을 속이는 것도 포함됩니다. 다만, 이러한 전략으로는 3차 흡연 오염물질을 전혀 없애지 못할뿐더러 새로운 화합물(예: 꽃향기 방향제 스프레이)이 공기 중에 추가되기에 주변 공기로 인해 신체 일부가 따끔거릴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 청소에 관한 오해
- 담배연기는 방에서 구석구석 빠르게 퍼지며 인접한 실내공간으로 확산하다 공기 중은 물론 공동관로 덕트를 지나며 건물 전체로 퍼져 나갑니다. 따라서 3차 흡연은 불과 방 한 개에서 3차 흡연이 발견되었어도 다른 방이 오염되지 않았으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 퀴퀴한 담배 냄새의 불쾌한 악취를 방향제로 감추는 것으로는 3차 흡연 유해 물질이 제거되지 않습니다.
- “악취 제거 방향제”는 사용자가 불쾌한 냄새를 아예 맡을 수 없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악취를 유발하는 THS 오염원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 유기체(예: 곰팡이, 균류, 해충)의 성장을 막고 억제하는 것은 3차 흡연과 같은 화학적 오염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HEPA 필터를 사용하는 잘 관리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에서 유해한 3차 흡연 분진을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 다만, 3차 흡연 오염원에서 비롯되어 증발할 수도 있는 휘발성 및 준휘발성 화합물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공기 중에서 휘발성 화합물을 제거하려면 숯 여과법을 사용하는 공기청정기가 있어야 합니다.
- 공기 중에서 3차 흡연 오염물질을 제거한다고 표면에서 혹은 자재나 먼지 속에서 그러한 물질이 제거되는 것은 아닙니다.
청소, 교체, 리모델링?
3차 흡연에 오염된 실내 환경의 정화에는 큰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전적으로 이전 거주자의 흡연 기간과 흡연량은 물론 3차 흡연 누적량에 달렸습니다. 때에 따라 표면을 세척하고 닦아내며 카펫과 가구를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에 걸쳐 실내공간에서 담배를 피는 경우 3차 흡연 오염원은 규모가 커지며 건축 자재(예: 건식벽, 단열재) 깊숙이 배어들 뿐만 아니라 표면에도 오래 남습니다.이러한 경우, 건축 자재를 전량 교체해야 하며 대대적 리모델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2022년 6월
출처:
Ask This Old House. Understanding Thirdhand Smoke. Home Safety Videos. Retrieved from: https://www.thisoldhouse.com/home-safety/21249597/understanding-thirdhand-smoke
Bahl V, Jacob P, 3rd, Havel C, Schick SF, Talbot P. Thirdhand cigarette smoke: factors affecting exposure and remediation. PloS one. 2014;9(10):e108258. doi: 10.1371/journal.pone.0108258. PubMed PMID: 25286392; PMCID: 4186756.
Matt GE, Quintana PJE, Hoh E, Zakarian JM, Dodder NG, Record RA, Hovell MF, Mahabee-Gittens EM, Padilla S, Markman L, Watanabe K, Novotny TE. Remediating Thirdhand Smoke Pollution in Multiunit Housing: Temporary Reductions and the Challenges of Persistent Reservoirs. Nicotine Tob Res. 2021;23(2):364-72. Epub 2020/08/18. doi: 10.1093/ntr/ntaa151. PubMed PMID: 32803265; PMCID: PMC7822102.
Matt GE, Hoh E, Quintana PJE, Zakarian JM, Arceo J. Cotton pillows: A novel field method for assessment of thirdhand smoke pollution. Environ Res. 2019;168:206-10. Epub 2018/10/15. doi: 10.1016/j.envres.2018.09.025. PubMed PMID: 30317105.
Matt GE, Quintana PJ, Zakarian JM, Fortmann AL, Chatfield DA, Hoh E, Uribe AM, Hovell MF.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1;20(1):e1. doi: 10.1136/tc.2010.037382. PubMed PMID: 21037269; PMCID: 3666918.
Sleiman M, Destaillats H, Smith JD, Liu C, Ahmed M, Wilson KR Gundel LA.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rom ozone-initiated reactions with nicotine and secondhand tobacco smoke. Atmos Env. 2010; 44:4191-4198.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누군가 흡연한 후 공기 중의 연기가 사라진 것처럼 보여도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표면에, 먼지 속에 그리고 물건 겉쪽에 남습니다. 시간에 따라 3차 흡연은 자재나 소재 속으로 배어들며 벽, 카펫, 창, 문을 비롯하여 사실상 어떤 실내 표면에도 들러붙을 수 있습니다. 또한,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가구, 책, 완구, 접시, 은식기류, 커튼, 담요 및 베개와 같이 흔히 사용되는 물건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피부, 모발 및 옷에도 붙을 수 있습니다. 수년간 정해진 시간대로 담배를 피운 환경에서는 3차 흡연이 모든 표면과 물체를 오염시켰을 가능성이 짙습니다. 테이블 밑면, 벽장과 장롱 안쪽, 카펫 밑면의 스펀지 소재, 벽판 및 주택 단열재와 같이 대체로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는 숨은 표면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건식벽, 카펫 및 베개와 같은 일부 표면은 물을 빨아들이는 스펀지 역할을 하며 유독한 3차 흡연 화학물질을 저장합니다. 젖은 스펀지에서 물이 증발하는 작용과 매한가지로 이러한 화학물질은 나중에 공기 중으로 혹은 접촉을 통해서 옮아가며, 담배를 피운 지 오래되었어도 결국은 유해한 노출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담배를 피우며 살던 집에서 흡연 당사자가 이사하면서 다른 집으로 가구를 들여놓을 때나 어떤 사람이 휴식 시간에 담배를 피운 후 금연구역인 실내공간에 들어갈 때도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2022년 7월
출처:
Matt GE, Hoh E, Quintana PJE, Zakarian JM, Arceo J. Cotton pillows: A novel field method for assessment of thirdhand smoke pollution. Environ Res. 2019;168:206-10
Matt, G. E., Quintana, P. J., Hovell, M. F., Chatfield, D., Ma, D. S., Romero, R., & Uribe, A. (2008). Residual tobacco smoke pollution in used cars for sale: air, dust, and surfaces. Nicotine Tob Res, 10(9), 1467-1475. doi:10.1080/14622200802279898.
Matt GE, Quintana PJE, Zakarian JM, Hoh E, Hovell MF, Mahabee-Gittens M, Watanabe K, Datuin K, Vue C, Chatfield DA. When smokers quit: exposure to nicotine and carcinogens persists from thirdhand smoke pollution. Tob Control. 2016;26(5):548-556. doi: 10.1136/tobaccocontrol-2016-053119.
Schick SF, Farraro KF, Perrino C, Sleiman M, van de Vossenberg G, Trinh MP, Hammond SK, Jenkins BM, Balmes J. Thirdhand cigarette smoke in an experimental chamber: evidence of surface deposition of nicotine, nitrosamine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de novo formation of NNK. Tob Control. 2014;23(2):152-9.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방에 들어가자마자 찌든 담배 냄새를 맡아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누군가 지나갈 때 그런 냄새를 맡은 적이 있으신가요? 옆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없는데 찌든 담배 냄새를 맡았다면 3차 흡연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숨을 들이마실 때 코 안의 후각 수용체가 3차 흡연의 화학물질을 감지하고 뇌로 신호를 보내서 찌든 담배 냄새를 인식하게 됩니다.
우리가 찌든 담배 냄새를 맡는 것은 3차 흡연 오염물질이 실내 표면에 축적되어 있다가 다시 공기 중으로 방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오염된 공기를 마시면 3차 흡연 오염물질을 들이마시는 셈입니다. 3차 흡연 오염물질에는 몸의 많은 기관(코, 목, 폐, 간, 피부 포함)을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키고 정상적인 세포 기능에 해를 끼치며, DNA를 손상시키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담배 냄새가 나지 않아도 3차 흡연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후각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뛰어난 경고 체계이지만, 화학물질의 양이 코가 감지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일 때만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이 수준 이하에서는 담배 냄새를 맡지 못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유독한 3차 흡연이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심지어 어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양이 많든 적든 상관없이 코로 감지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찌든 담배 냄새가 3차 흡연의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냄새는 나지 않더라도 이러한 유해 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업데이트: 2022년 9월
출처:
Hang B, Wang P, Zhao Y, Sarker A, Chenna A, Xia Y, Snijders AM, Mao JH. Adverse health effects of thirdhand smoke: From cell to animal models. Int J Mol Sci. 2017 Apr 28;18(5). pii: E932.
Martins-Green M, Adhami N, Frankos M, Valdez M, Goodwin B, Lyubovitsky J, Dhall S, Garcia M, Egiebor I, Martinez B, Green HW, Havel C, Yu L, Liles S, Matt G, Destaillats H, Sleiman M, Gundel LA, Benowitz N, Jacob III P, Hovell M, J.P. Winickoff, M. Curras-Collazo. Cigarette smoke toxins deposited on surfaces: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PLoS One. 2014:9:1:e86391.
Matt GE, Quintana PJE, Zakarian JM, Hoh E, Hovell MF, Mahabee-Gittens M, Watanabe K, Datuin K, Vue C, Chatfield DA. When smokers quit: exposure to nicotine and carcinogens persists from thirdhand smoke pollution. Tob Control. 2016; 26(5):548-556.
Matt GE, Quintana PJ, Zakarian JM, Fortmann AL, Chatfield DA, Hoh E, Uribe AM, Hovell MF.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1;20(1):e1.
Pozuelos G, Kagda M, Schick S, Girke T, Volz DC, Talbot P. Acute exposure to thirdhand smoke leads to rapid changes in the human nasal epithelial transcriptome. JAMA Network Open. 2019. 2(6):e196362. doi:10.1001/jamanetworkopen.2019.6362
간략한 답변: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2차 흡연으로 남은 화학적 잔류물로 먼지 속에는 물론 집안 곳곳의 표면에 수개월간 남아 있습니다. 그 물질은 카펫, 가구, 직물 및 건축 자재에도 배어들어 대상을 오염물질 저장소로 바꾸어 놓습니다.”담배연기 잔류물”이나 “퀴퀴한 담배 냄새”로도 알려진 3차 흡연의 혼합 오염물질은 사람, 특히 소아에게 유독합니다.
자세한 답변: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공기 중에서 2차 흡연 유해 물질이 사라진 후에도 계속 남아 있는 화학적 잔류물입니다. 2차 흡연 유해 물질은 옆으로 새는 담배연기, 즉 부류연과 흡연자가 내뿜는 연기, 즉 주류연이 합쳐진 것입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엄밀히 말해 연기가 아니나 표면에 달라붙으며 카펫, 벽, 가구, 담요 및 완구와 같은 소재에 깊숙이 배어들었다가 나중에 공기 중으로 다시 방출되고 집안 먼지 속에 누적될 수 있는 유독성 혼합 화학물질입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실내에 수년간 잔존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오염된 표면과 접촉함(피부를 통한 흡수)으로써, 오염된 것이나 먼지를 입으로 들여보냄으로써 그리고 오염된 공기와 다시 날아오른 3차 흡연 성분을 들이마심으로써 3차 흡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미국 보건총감(Surgeon General)은 담배연기에 노출되는 수준 중에 안전한 것은 없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lifornia Air Resource Board)에서는 2차 흡연 성분을 유독성 공기 오염물로 분류하였습니다. 2차 흡연은 3차 흡연으로 이어지기에 많은 2차 흡연 성분이 인체 발암물질, 생식 독성물질 및 발달 독성물질(캘리포니아 제안 조례 65호, 즉 Proposition 65 및 국제 암 연구소, 즉 International Agency for Cancer Research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음)과 같은 3차 흡연 유해 물질에서도 발견되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3차 흡연의 일부 화학물질은 주변 환경에 따른 담배연기 성분의 화학적 변성의 결과물이기에 갓 피어오른 담배연기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2022년 7월에 업데이트됨
출처:
Matt, G. E., P. J. Quintana, H. Destaillats, L. A. Gundel, M. Sleiman, B. C. Singer, P. Jacob, N. Benowitz, J. P. Winickoff, V. Rehan, P. Talbot, S. Schick, J. Samet, Y. Wang, B. Hang, M. Martins-Green, J. F. Pankow, and M. F. Hovell. 2011. “Thirdhand tobacco smoke: emerging evidence and arguments for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genda.” Environ Health Perspect 119 (9):1218-26. doi: 10.1289/ehp.1103500.
Jacob, P., 3rd, N. L. Benowitz, H. Destaillats, L. Gundel, B. Hang, M. Martins-Green, G. E. Matt, P. J. Quintana, J. M. Samet, S. F. Schick, P. Talbot, N. J. Aquilina, M. F. Hovell, J. H. Mao, and T. P. Whitehead. 2017. “Thirdhand Smoke: New Evi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m Res Toxicol 30 (1):270-294. doi: 10.1021/acs.chemrestox.6b00343.
Sleiman M, Destaillats H, Smith JD, Liu C, Ahmed M, Wilson KR Gundel LA.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rom ozone-initiated reactions with nicotine and secondhand
tobacco smoke. Atmos Env. 2010; 44:4191-4198.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Resources Board,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the “Proposed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s a Toxic Air Contaminant, Part A. http://www.arb.ca.gov/regact/ets2006/ets2006.htm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vailable: http://www.surgeongeneral.gov/library/secondhandsmoke/
State of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hemicals Known to the State to Cause Cancer or Reproductive Toxicity.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February 25, 2022. https://oehha.ca.gov/proposition-65/proposition-65-list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2차 흡연 유해 물질에는 가스 및 잘 달라붙는 미립자 형태로 수천 가지 화학물질이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물질 중 대다수는 암과 심장 질환을 유발하며 폐 건강과 생식 건강을 해칩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에는 이러한 일련의 입자와 가스 중 일부가 포함되며 이는 카펫, 벽, 가구 등의 물체와 자재에 수년간 남을 수 있습니다.
사람과 반려동물은 3차 흡연 유해 물질이 쌓여 온 표면에 피부가 닿을 때 3차 흡연에 노출되고 맙니다. 어떤 사람은 공기 중의 3차 흡연 가스와 입자에서 비롯된 오염물질을 들이마실 수 있으며, 혹은 입속에 갖다 넣는 것에서 비롯된 3차 흡연 잔류물을 몸안으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노출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연구가 크게 다섯 갈래로 진행되었습니다.
1) 3차 흡연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의 영향에 관한 연구:
3차 흡연 유해 물질에는 담배특이 니트로사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중금속, 니코텔린, 정중 지름이 <0.10인 초미립자를 비롯하여 1차 및 2차 흡연과 동일한 독성 화학물질 중 일부가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독성 화학물질과 초미립자 혼합물에 대한 노출이 인체 건강에 유해하다는 반박하기 어려운 증거가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 중 일부가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의 https://monographs.iarc.who.int/ 사이트에 열거되어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법에 따르면 3차 흡연에서 발견되는 오염물질 중 25가지 이상은 암, 선천성 결손증 또는 기타 생식기능 훼손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제안 조례 Prop 65 법에 따라 반드시 목록에 언급되어야 합니다(https://oehha.ca.gov/proposition-65).
2)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3차 흡연 노출이 인간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간 세포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3차 흡연에 대한 노출은 우리 세포의 발달, 기능, 성장 및 증식에 필요한 명령을 포함하는 유전 물질로 인체의 거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는 DNA에 직접 손상(예: DNA 가닥 절단)을 가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은 인간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주며, 이로써 해당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과 복구 기전에 지장을 줍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이 있는 환경에서는 인간 세포가 스스로 재생 및 복구하는 능력이 약화됩니다.
3) 실사회 현장 환경에서 3차 흡연의 존재와 사람의 3차 흡연 노출에 관한 연구:
3차 흡연의 존재와 잔존은 여러 다양한 비흡연 환경에서 실증되었습니다. 실증 환경: 한 부모 가정, 저소득 다가구 주택, 고급 아파트, 흡연을 금지한 비흡연자 가정, 이미 금연한 흡연자 가정, 흡연자가 이사 나간 주택, 호텔의 비흡연 객실, 공공장소, 대중교통 등. 이러한 환경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3차 흡연 유독 성분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출의 증거는 소변이나 혈액 또는 타액에서 3차 흡연의 존재를 가늠하는 생체표지자입니다. 3차 흡연으로 오염된 환경에서 사는 신생아, 유아, 어린이 및 성인 비흡연자는 몸안에서 3차 흡연 독성물질이 발견되었습니다.
4)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3차 흡연 노출이 동물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53년에 실시된 3차 흡연에 관한 초창기 동물 실험 중 한 연구에 따르면 생쥐 피부에 3차 흡연 잔류물을 도포하였을 때 생쥐들에게서 피부암이 발병하였습니다. 더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깔개를 통하여 3차 흡연에 노출된 생쥐들에게서 다음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 느린 상처 회복
- 폐 부위 염증
- 간 지방 수치 상승
- 높은 혈당치
- 혈액 응고 증가
- 항진적 산만 행동
- 산후 체중 증가 부족
- LDL(“나쁜”)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와 HDL(“좋은”)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5) 실험실 환경과 실사회 현장 환경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프란시스코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연구진은 3차 흡연 노출이 실험실 환경에서 건강한 비흡연 자원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습니다. 3차 흡연에 노출된 지 바로 3시간 후에 참가자의 폐 세포에 손상이 생겼습니다.
신시내티 소아병원(Cincinnati Children’s Hospital)과 샌디에이고 주립대학(San Diego State University) 연구진은 3차 흡연에 노출된 아동이 폐 질환, 바이러스/기타 감염병 및 세균감염증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큰 것을 알아냈습니다.
요약
인간 세포와 동물이 대상인 검사실 실험에서 얻은 증거,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조군 연구 및 지역사회에서 실시한 실세계 현장 연구에 따르면 3차 흡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람에게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함
- 주위 환경에 잔존함
- 결과적으로 인체의 여러 기관계에 해를 끼칠 수 있음.
업데이트: 2022년 9월
출처:
Hang B, Wang P, Zhao Y, Sarker A, Chenna A, Xia Y, Snijders AM, Mao JH. Adverse health effects of thirdhand smoke: From cell to animal models. Int J Mol Sci. 2017;18(5). pii: E932. doi: 10.3390/ijms18050932.
Jacob P 3rd, Benowitz NL, Destaillats H, Gundel L, Hang B, Martins-Green M, Matt GE, Quintana PJ, Samet JM, Schick SF, Talbot P, Aquilina NJ, Hovell MF, Mao JH, Whitehead TP. Thirdhand Smoke: New Evi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m Res Toxcicol. 2017;30(1):270-294. doi: 10.1021/acs.chemrestox.6b00343. Epub 2016 Dec.
Martins-Green M, Adhami N, Frankos M, Valdez M, Goodwin B, Lyubovitsky J, Dhall S, Garcia M, Egiebor I, Martinez B, Green HW, Havel C, Yu L, Liles S, Matt G, Destaillats H, Sleiman M, Gundel LA, Benowitz N, Jacob III P, Hovell M, J.P. Winickoff, M. Curras-Collazo. Cigarette smoke toxins deposited on surfaces: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PLoS One. 2014:9:1:e86391.
Mahabee-Gittens EM, Merianos AL, Jandarov RA, Quintana PJE, Hoh E, Matt GE.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hand nicotine and urinary cotinine with children’s exposure to tobacco smoke and clinical outcomes. Environ Res. 2021 Nov;202:111722. doi: 10.1016/j.envres.2021.111722. Epub 2021 Jul 21. PMID: 34297932; PMCID: PMC8578289.
Matt GE, Quintana PJ, Zakarian JM, Fortmann AL, Chatfield DA, Hoh E, Uribe AM, Hovell MF.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1;20(1):e1.
Matt GE, Quintana PJE, Zakarian JM, Hoh E, Hovell MF, Mahabee-Gittens M, Watanabe K, Datuin K, Vue C, Chatfield DA. When smokers quit: Exposure to nicotine and carcinogens persists from thirdhand smoke pollution. Tob Control. 2017;26(5):548-556.
Matt GE, Quintana PJ, Fortmann AL, Zakarian JM, Galaviz VE, Chatfield DA, Hoh E, Hovell MF, Winston C. Thirdhand smoke and exposure in California hotels: Non-smoking rooms fail to protect non-smoking hotel guests from tobacco smoke exposure. Tob Control. 2014;23(3):264-72.
Matt GE, Quintana PJE, Hoh E, Zakarian JM, Chowdhury Z, Hovell MF, Jacob P, Watanabe K, Theweny TS, Flores V, Nguyen A, Dhaliwal N, Hayward G. A Casino goes smoke free: A longitudinal study of secondhand and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8. Epub 2018/02/14.
Matt GE, Fortmann AL, Quintana PJ, Zakarian JM, Romero RA, Chatfield DA, Hoh E, Hovell MF. Towards smoke-free rental cars: An evaluation of voluntary smoking restrictions in California. Tob Control. 2013;22(3):201-207.
Matt GE, Quintana PJ, Hovell MF, Chatfield D, Ma DS, Romero R, Uribe A. Residual tobacco smoke pollution in used cars for sale: Air, dust, and surfaces. Nicotine Tob Res. 2008;10(9):1467-1475.
Pozuelos G, Kagda M, Schick S, Girke T, Volz DC, Talbot P. Acute exposure to thirdhand smoke leads to rapid changes in the human nasal epithelial transcriptome. JAMA Network Open. 2019. 2(6):e196362. doi:10.1001/jamanetworkopen.2019.6362
Wynder EL, Graham EA, Croninger AB. 1953. Experimental production of carcinoma with cigarette tar. Cancer Res. 13, 855-64.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담배는 3차 흡연의 유일한 발생원이 아닙니다. 궐련 담배, 시가, 필터형 리틀 시가, 파이프, 전자 담배, 물담배(때로는 후카 또는 시샤라고 함), 용해성 담배 및 예컨대 씹는 담배, 뱉는 담배, 코담배, 스누스 같은 무연 담배 제품을 비롯하여 어떤 담배 제품도 3차 흡연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담배 제품은 담뱃잎으로 제조합니다. 담배 연기 속에 든 일부 독성 화학물질은 담배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며, 그 밖의 독성 화학물질은 제조 공정에서 추가되거나 생성되기는 하지만, 나머지 다른 독성 화학물질은 담배를 태울 때 발생합니다.
모든 담배 제품은 화학 잔류물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궐련 담배, 시가는 물론 파이프 가루 담배와 후카와 같은 담배 제품을 태울 때 비롯되는 독성 잔류물을 가장 많이 연구합니다. 그런데도 심지어 태우지 않은 담배 제품조차 3차 흡연과 연관이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발견한 증거에 따르면 전자담배 끽연에서 비롯되는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포유기 생쥐에게 노출되었을 때 발육 문제와의 연계성을 나타냈습니다. 주민이 실내에서 무연 담배, 전자담배 및 대마초를 피우는 환경에서는 3차 흡연의 심각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데이트: 2022년 8월
출처:
Chen, H., Li, G., Allam, V. S. R. R., Wang, B., Chan, Y. L., Scarfo, C., Ueland, M., Shimmon, R., Fu, S., Foster, P., & Oliver, B. G. (2020). Evidence from a mouse model on the dangers of thirdhand electronic cigarette exposure during early life. ERJ Open Research, 6(2), 00022–02020. https://doi.org/10.1183/23120541.00022-2020.
Goniewicz ML, Lee L. Electronic cigarettes are a source of thirdhand exposure to nicotine. Nicotine Tob Res. 2015; 17(2):256-258. Published online 2014 August 30.
Jacob P 3rd, Benowitz NL, Destaillats H, Gundel L, Hang B, Martins-Green M, Matt GE, Quintana PJ, Samet JM, Schick SF, Talbot P, Aquilina NJ, Hovell MF, Mao JH, Whitehead TP. Thirdhand Smoke: New Evi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m Res Toxicol. 2017;30(1), 270-294.
Marcham CL, Floyd EL, Wood BL, Arnold S, & Johnson DL. (2019). E-cigarette nicotine deposition and persistence on glass and cotton surfac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6(5), 349–354. https://doi.org/10.1080/15459624.2019.1581366
Sempio C, Lindley E, Klawitter J, Christians U, Bowler RP, Adgate JL, Allshouse W, Awdziejczyk L, Fischer S, Bainbridge J, Vandyke M, Netsanet R, Crume T, Kinney GL. Surface detection of THC attributable to vaporizer use in the indoor environment. Sci Rep. 2019; 9(1):18587. doi: 10.1038/s41598-019-55151-5.
Son Y, Giovenco DP, Delnevo C, Khlystov A, Samburova V, Meng Q. Indoor air quality and passive e-cigarette aerosol exposures in vape-shops [published online ahead of print, 2020 May 23]. Nicotine Tob Res. 2020;ntaa094. doi:10.1093/ntr/ntaa094
Yeh, K., Li, L., Wania, F., & Abbatt, J. P. (2022). Thirdhand smoke from tobacco, e-cigarettes, cannabis, methamphetamine and cocaine: Partitioning, reactive fate, and human exposure in indoor environments. Environment International, 160, 107063. https://doi.org/10.1016/j.envint.2021.107063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3차 흡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접촉을 통해서
오염된 표면에 피부가 접촉할 때 3차 흡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표면은 자동차 운전대, 담요, 테이블, 장난감 또는 의자일 수도 있습니다. 오염된 표면에서 비롯된 3차 흡연 화학물질은 피부에 달라붙고, 혈류에 침투하고, 온몸을 순환할 수 있으며 이로써 DNA와 면역체계는 물론 심장혈관계통을 손상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으로 오염된 표면을 만졌다는 생각이 들면 그 즉시 손을 씻으십시오.
호흡을 통해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3차 흡연 화학물질과 분진을 들이마실 수도 있습니다. 3차 흡연 유해 물질은 의류, 가구, 카펫, 벽 또는 베개에서 방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이 방출되는 경우 때로 퀴퀴한 담배 냄새가 날 수 있지만, 늘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퀴퀴한 담배 냄새가 난다면 이는 단순한 악취가 아닙니다. 이는 폐를 통하여 몸에 침투하는 유독한 혼합 화학물질입니다.
입속 침투를 통해서
사람들은 3차 흡연으로 오염된 물체(예: 장난감, 컵, 가정용품, 손가락)를 입안에 넣을 때 3차 흡연 유해 물질을 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이가 나는 시기의 어린아이는 자기 입속에 다양한 물체를 갖다 넣기에 3차 흡연 유해 물질을 삼킬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2022년 8월에 업데이트됨
출처:
Matt GE, Merianos AL, Quintana PJE, Hoh E, Dodder NG, Mahabee-Gittens EM. Prevalence and Income-Related Disparities in Thirdhand Smoke Exposure to Children. JAMA Netw Open. 2022;5(2):e2147184. doi:10.1001/jamanetworkopen.2021.47184
Matt GE, Quintana PJ, Zakarian JM, Fortmann AL, Chatfield DA, Hoh E., et al.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1; 20. e1 10.1136/tc.2010.037382.
Jacob P, Benowitz NL 3rd, Destaillats H, Gundel L, Hang B, Martins-Green M, et al. Thirdhand smoke: new evi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m. Res. Toxicol. 2017; 30:270–294. 10.1021/acs.chemrestox.6b00343.
Tang X, Benowitz N, Gundel L, Hang B, Havel CM, Hoh E, Jacob P, Mao Jian-Hua, Martins-Green Manuela, Matt GE, Quintana PJ, Russell M, Sarker Altaf, Schick S, Snijders A, and Destaillats H. Thirdhand Exposures to Tobacco-Specific Nitrosamines through Inhalation, Dust Ingestion, Dermal Uptake, and Epidermal Chemistry. Environ. Sci. Technol. 2022; https://doi.org/10.1021/acs.est.2c02559.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수년간 수시로 이루어진 흡연에 오염된 가정 주택에서는 3차 흡연 잔류물이 온 집안의 건축 자재에 배어들었을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이러한 오염물질 저장소는 매우 오래 잔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구나 알도록 마지막 담배 한 개비를 피운 지 몇 년이 지나도 3차 흡연 유해 물질이 발견된 바 있습니다.
어떤 사례에서는 집에서 담배를 피워 왔던 사람이 이사 나간 후 빈집 청소를 말끔히 하고 수개월간 집을 비워 놓았습니다. 그래도 집안 곳곳 표면의 3차 흡연 심각도는 애연가 가정에서 접하는 수준과 거의 다를 바 없었습니다.
두 번째 사례에서는 습관적으로 평생 하루에 한 갑씩 피우던 사람이 금연에 성공하였습니다. 이후 5년이 훌쩍 지났어도 집안 가구와 세간의 3차 흡연 심각도는 애연가 가정에서 흔히 접하는 정도와 같았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금연 아파트에서 사는 비흡연 세입자들이 시험에 참여하였는데 해당 아파트 전 세대(220세대)에서 3차 흡연 유해 물질이 발견되었습니다. 시험 참여 인원 중 10% 정도는 거주자가 실내에서 수시로 흡연한 아파트 세대에서 접하는 수준과 비슷한 3차 흡연 심각도에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독성 3차 흡연 잔류물은 널리 퍼지며 오래 남습니다. 기존 3차 흡연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지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지침이 제공됩니다. 자택에서 3차 흡연의 누적 피해를 막으려면 자신은 물론 집이나 차량 안에서 혹은 그 주위에서 아무도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십시오.
2022년 8월에 업데이트됨
출처:
Matt GE, Quintana PJE, Hoh E, Zakarian J, Dodder NG, Record R., Hovell M, Mahabee-Gittens M, Padilla S, Markman L, Watanabe K, Novotny T, Persistent tobacco smoke residue in multiunit housing: Legacy of permissive indoor smoking policies and challe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smoking bans, Preventive Medicine Reports, Volume 18, 2020, 101088, ISSN 2211-3355, https://doi.org/10.1016/j.pmedr.2020.101088.
Matt GE, Quintana PJE., Hoh E, Zakarian J, Dodder N, Record R., Hovell M, Mahabee-Gittens M, Padilla S, Markman L, Watanabe K, Novotny T, Persistent tobacco smoke residue in multiunit housing: Legacy of permissive indoor smoking policies and challe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smoking bans, Preventive Medicine Reports, Volume 18, 2020, 101088, ISSN 2211-3355, https://doi.org/10.1016/j.pmedr.2020.101088.
Matt, GE, Quintana PJE., Hovell M, Chatfield D, Ma D, Romero R, Uribe A, Residual tobacco smoke pollution in used cars for sale: Air, dust, and surfaces, Nicotine & Tobacco Research, Volume 10, Issue 9, September 2008, Pages 1467–1475, https://doi.org/10.1080/14622200802279898.
Matt GE, Quintana PJE, Zakarian JM, Fortmann A, Chatfield D, Hoh E, Uribe A, Hovell M.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acco Control, 2011;20:el, http://dx.doi.org/10.1136/tc.2010.037382.
Matt GE, Quintana PJE, Zakarian JM, Hoh E, Hovell M, Mahabee-Gittens M, Watanabe K, Datuin K, Vue C, Chatfield D. When smokers quit: exposure to nicotine and carcinogens persists from thirdhand smoke pollution, Tobacco Control, 2017;26:548-556, http://dx.doi.org/10.1136/tobaccocontrol-2016-053119.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영유아는 3차 흡연에 노출될 위험이 가장 큽니다. 다음은 집과 차 안에서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방법입니다.
집 안:
자녀가 생활하는 모든 실내 공간이 완전한 금연 환경인지 확인합니다.
- 즉, 자녀가 시간을 보내는 곳이라면 집 안이나 다른 어디에서도 단 한 순간도 담배, 파이프, 시가, 전자담배, 대마초 등을 피우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친구와 가족의 집, 호텔, 식당, 오락 시설, 놀이터 등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 연기가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으므로 문, 창문, 환기 시설 근처에서 누구라도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십시오.
- 아파트를 임대하거나 새 집을 구입하려 할 때 이전 거주자가 담배, 전자담배, 대마초 등을 사용했는지 물어보십시오. 사용 여부가 의사 결정 과정에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어야 합니다.
- 가구나 의류와 같은 중고품을 구입하기 전에 이전 소유자가 담배나 전자담배, 대마초 등을 사용했는지 물어보십시오. 사용 여부를 알 수 없다면 구매 결정 시 이를 고려하십시오.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성인, 특히 보육 시설 직원이 흡연하지는 않는지 확인하십시오.
- 흡연자의 옷, 손, 얼굴, 몸, 머리카락에는 3차 흡연 잔류물이 달라붙게 됩니다.
- 흡연자가 자녀와 접촉하기 전에 손을 씻고 샤워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도록 요청하십시오.
실내 환경에서 3차 흡연을 완전히 막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흡연이 장기간 지속되어 온 경우에 더욱 그렇습니다. 흡연 오염물질이 누적된 공간의 규모와 정도에 따라 실내 전체를 개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자녀가 3차 흡연의 노출 위험이 있는 집에서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노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내 환경이 3차 흡연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 자녀에게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팁
- 항상 실외에서만 담배를 피우더라도 흡연자의 피부, 머리카락, 옷에 붙여온 담배 잔류물은 집 안으로 옮겨질 수 있습니다. 흡연 후 실내에 들어온 흡연자가 샤워를 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도록 하십시오.
- 흡연자의 집에서 나온 물건, 특히 옷, 장난감, 양탄자, 담요가 있다면 세탁하거나 아예 버리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집 안에서 발생하는 3차 흡연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매주 창문을 열어 방을 환기시키고, (2) 희석된 백식초 용액으로 실내 표면을 정기적으로 닦고, (3) 자주 먼지를 털고, (4) 매주 HEPA 필터를 장착한 청소기로 청소합니다.
- 자녀의 담요, 침구, 장난감을 정기적으로 세탁하십시오.
차 안:
자녀가 탄 차량에서는 흡연을 절대 금지하도록 하세요.
- 차량 내에서는 항상 흡연을 금지하고, 차량 내 흡연을 허용하는 사람과 함께 자녀를 태우지 마십시오.
- 중고차를 구입하는 경우 이전 소유자의 흡연 여부에 대해 반드시 문의하십시오. 자동차에서 3차 흡연의 피해를 막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불행하게도, 차 안에 남아 있던 담배의 유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3차 흡연을 막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열심히 청소한다고 해도 차 안의 유독성 화학물질은 쉽게 제거되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노출될 위험이 더 큽니다. 자녀가 3차 흡연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차량에 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노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량이 3차 흡연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 자녀에게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팁
- 자녀가 3차 흡연에 노출된 차 안에 있는 경우 “외기 모드”를 선택하여 에어컨을 켜십시오. 차량 내부의 공기를 단순히 재순환시키고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해야 합니다. 때로는 이렇게 기본 설정된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에어컨을 통해 외부 공기를 차 안으로 유입하면 차내 공기 중의 3차 흡연 오염물질 농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카시트를 차 안에 두지 마십시오. 카시트는 사용하는 경우에만 차 안에 설치하세요. 카시트가 차 안에 있는 시간이 적을수록 유독한 3차 흡연에 노출되는 시간이 줄어들 것입니다.
- 카시트를 차에 넣기 전에 카시트 밑에 깨끗한 수건을 깔아주십시오. 이 수건은 3차 흡연 오염물질이 남아있는 자동차의 시트커버와 깨끗한 카시트 사이에서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할 것입니다.
- 카시트 사용이 끝나면 카시트와 수건을 제거하세요. 식초를 물에 희석한 용액으로 카시트를 닦고 수건을 세탁물에 넣습니다.
- 자녀가 차에 타고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십시오.
- 피부를 통해 3차 흡연 오염물질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에서 내린 후에는 자녀의 손과 얼굴을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차 안에서 3차 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자녀를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담배를 피운 차에 절대 태우지 않고, (2) 차 안에서 항상 흡연을 금지하고, (3) 렌터카를 이용할 때는 금연 차량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렌터카에서 담배 냄새가 나면 다른 차량을 요청하십시오
업데이트: 2022년 9월
출처:
Fortmann, A. L., R. A. Romero, M. Sklar, V. Pham, J. Zakarian, P. J. Quintana, D. Chatfield and G. E. Matt (2010). Residual tobacco smoke in used cars: futile efforts and persistent pollutants. Nicotine Tob Res 12(10): 1029-1036.
Jacob III P, Benowitz NL, Destaillats H, Gundel L, Hang B, Martins-Green M, Matt GE, Quintana PJ, Samet JM, Schick SF, Talbot P. Thirdhand smoke: new evi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2017 Jan 17;30(1):270-94.
Kassem NO, Daffa RM, Liles S, Jackson SR, Kassem NO, Younis MA, Mehta S, Chen M, Jacob P 3rd, Carmella SG, Chatfield DA, Benowitz NL, Matt GE, Hecht SS, Hovell MF. Children’s exposure to secondhand and thirdhand smoke carcinogens and toxicants in homes of hookah smokers. Nicotine Tob Res. 2014 Jul;16(7):961-75. doi: 10.1093/ntr/ntu016. Epub 2014 Mar 3.
Kelley ST, Liu W, Quintana PJE, Hoh E, Dodder NG, Mahabee-Gittens EM, Padilla S, Ogden S, Frenzel S, Sisk-Hackworth L, Matt GE. Altered microbiomes in thirdhand smoke-exposed children and their home environments. Pediatr Res. 2021. Epub 2021/03/04. doi: 10.1038/s41390-021-01400-1. PubMed PMID: 33654287.
Mahabee-Gittens EM, Merianos AL, Hoh E, Quintana PJE, Matt GE. Nicotine on children’s hands: limited protection of smoking bans and initial clinical findings. Tob Use Insights. 2019;12:1-6. PMID: 30728727; PMCID: PMC6351963.
Mahabee-Gittens EM, Merianos AL, Jandarov RA, Quintana PJE, Hoh E, Matt GE.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hand nicotine and urinary cotinine with children’s exposure to tobacco smoke and clinical outcomes. Environ Res. 2021;202:111722. Epub 2021/07/24. doi: 10.1016/j.envres.2021.111722. PubMed PMID: 34297932.
Matt GE, Fortmann AL, Quintana PJ, Zakarian JM, Romero RA, Chatfield DA, Hoh E, Hovell MF. Towards smoke-free rental cars: an evaluation of voluntary smoking restrictions in California. Tobacco control. 2013 May 1;22(3):201-7.
Matt GE, Quintana PJ, Hovell MF, Bernert JT, Song S, Novianti N, Juarez T, Floro J, Gehrman C, Garcia M, Larson S. Households contaminated by environmental tobacco smoke: sources of infant exposures. Tob Control. 2004 Mar;13(1):29-37. PubMed PMID:14985592.
Matt GE, P. J. Quintana, M. F. Hovell, D. Chatfield, D. S. Ma, R. Romero and A. Uribe (2008). Residual tobacco smoke pollution in used cars for sale: air, dust, and surfaces. Nicotine Tob Res 10(9): 1467-1475.
Northrup TF, Matt GE, Hovell MF, Khan AM, Stotts AL. (2015). Thirdhand smoke in the homes of medically fragile children: Assessing the impact of indoor smoking levels and smoking bans. Nicotine Tob Res.2016;18(5):1290-8. Epub: 2015 Aug 26. doi:10.1093/ntr/ntv174. PubMed PMID:26315474.
Northrup TF, Stotts AL, Suchting R, Matt GE, Quintana PJE, Khan AM, Green C, Klawans MR, Johnson M, Benowitz N, Jacob P, Hoh E, Hovell MF, Stewart CJ. Thirdhand smoke associations with the gut microbiomes of infants admitted to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 observational study. Environ Res. 2021;197:111180. Epub 2021/04/19. doi: 10.1016/j.envres.2021.111180. PubMed PMID: 33865820; PMCID: PMC8187318.
3차 흡연은 담배 연기가 남긴 화학적 잔류물 을 말합니다. 3차 흡연은 “담배 연기 잔류물” 또는 “찌든 담배 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차 흡연 화학물질은 사람, 특히 어린이에게 독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먼지와 실내 표면에 수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펫, 가구, 의류 및 건축 자재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어떤 사람이 집이나 차 밖에서 흡연하고 실내에 들어온 경우 다른 사람이 3차 흡연의 피해를 보게 됩니다. 이때 흡연자는 담배 냄새를 풍기기도 합니다. 설령 냄새를 풍기지 않는다 해도 흡연자의 옷, 피부, 머리카락, 심지어는 흡연자가 내뱉는 호흡을 통해서 3차 흡연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3차 흡연 화학물질이 공기 중으로 방출될 때 담배 냄새를 맡게 되는데, 이 방출되는 과정을 오프개싱(off-gassing)이라고 부릅니다. 공기 중의 이러한 화학물질 중 일부는 코 안의 후각 수용체에 의해 감지되고, 사람의 뇌는 이를 불쾌하고 찌든 담배 냄새로 인식합니다.
이러한 담배 잔류물이 실내로 들어온다면 그 영향은 누군가가 차나 집 안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흡연자의 손, 옷, 피부, 머리카락에 남아 있는 담배 잔류물의 가스와 입자는 다른 물질과 물건에 옮겨붙고, 흡착되어 계속 남아있게 됩니다. 집 안에서는 카펫, 벽, 가구, 담요 및 장난감 등에 남아있게 됩니다. 차 안에서는 시트커버, 핸들, 바닥 매트 및 헤드라이닝 등에 남아있게 됩니다. 가스와 입자 형태의 유해 물질은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먼지에 축적될 수도 있습니다. 즉, 직접 흡연하지 않은 차 안이나 집 안 등의 실내 공간에서도 사람과 애완동물이 유독한 3차 흡연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집에 유독성 담배 잔류물이 남지 않게 하려면 가족이나 친구 등 주변 사람에게 3차 흡연에 대해 알리고 다음과 같은 예방법을 지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집에 들어가기 전에 흡연 시 입었던 옷을 벗으십시오. 세탁할 때까지는 현관이나 베란다 밖에 보관하십시오.
- 흡연 시 입었던 옷은 매일 세탁하여 독성 화합물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 흡연 후에는 항상 손과 얼굴을 꼼꼼히 씻으십시오.
- 흡연 후에는 가능하면 즉시 샤워하여 머리카락과 피부에 남아 있는 담배 잔류물을 제거하세요. 샤워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손과 얼굴을 꼼꼼히 씻으십시오.
차에 탑승한 승객과 건강을 보호하려면, 최근 흡연한 적이 있는 사람이 탑승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예방법을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피부에서 담배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손과 얼굴을 씻으십시오.
- 깨끗한 셔츠로 갈아입습니다.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유독한 3차 흡연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해준 그들에게 감사를 표현하기를 바랍니다.
업데이트: 2022년 9월
출처:
Fortmann A L, Romero RA, Sklar RA, Pham V, Zakarian J, Quintana JP, Chatfield D, Matt GE. Residual tobacco smoke in used cars: futile efforts and persistent pollutants. Nicotine Tob Res. 2010;12(10):1029-36.
Licina D, Morrison GC, Bekö G, Weshler CJ, Nazaroff W. Clothing-mediated exposures to chemicals and particles. Environ. Sci. Technol. 2019; 53(10):5559-5575.
Matt G E, Romero R, Ma DS, Quintana JP, Hovell MF, Donohue M, Messer K, Salem S, Aguilar M, Boland J, Cullimore J, Crane M, Junker J, Tassainario P, Timmermann V, Wong K, Chatfield D. Tobacco use and asking prices of used cars: Prevalence, costs, and new opportunities for changing smoking behavior. Tob Induc Dis. 2008; Jul 31; 4(1):2. doi: 10.1186/1617-9625-4-2.
Matt GE, Quintana PJ, Hovell MF, Chatfield D, Ma DS, Romero R, Uribe A. Residual tobacco smoke pollution in used cars for sale: air, dust, and surfaces. Nicotine Tob Res. 2008;10(9):1467-75. doi: 10.1080/14622200802279898.
Matt GE, Quintana PJ, Zakarian JM, Fortmann AL, Chatfield DA, Hoh E, Uribe AM, Hovell MF. When smokers move out and non-smokers move in: Residential thirdhand smoke pollution and exposure. Tob Control. 2011; 20(1):e1.
Northrup TF, Stotts AL, Suchting R, et al. Thirdhand Smoke Contamination and Infant Nicotine Exposure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 Observational Study. Nicotine Tob Res. 2021;23(2):373-382.
Sheu R, Stönner C, Ditto J, Klüpfel T, Williams J, Gentner D. Human transport of thirdhand tobacco smoke: A prominent source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to indoor nonsmoking environments. Science Advances. 2020; 6(10):eaay4109.
Quintana PJ, Matt GE, Chatfield D, Zakarian JM, Fortmann AL, Hoh E. Wipe sampling for nicotine as a marker of thirdhand tobacco smoke contamination on surfaces in homes, cars, and hotels. Nicotine Tob Res. 2013;15(9):1555-63. doi: 10.1093/ntr/ntt014.
Question of the Week

If I want to avoid thirdhand smoke in my vehicle, what questions should I ask before buying a used car?
When people smoke in a car, thirdhand smoke residue builds up just the way it does in any indoor environment. However, a car is a much smaller space.